* FTP(File Transfer Protocol) 파일 전송 프로토콜
파일을 주고 받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
OSI 계층상에서 7Layer(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위치한다.
디폴트는 active 모드이며, passive 모드로의 변경은 FTP 클라이언트가 결정한다.
-사용포트
1. 제어 포트: 21번
2. 데이터 전송용 포트
액티브 모드인 경우: 20번
패시브 모드인 경우: 1024번 이상의 임의의 포트
-FTP Bounce Attack (FTP를 이용한 공격기법)
FTP서버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 목적지가 어디인지 검사하지 않는 설계상의 문제점을 이용한 공격
FTP서버의 전송 목적지 주소를 임의로 지정하여, FTP 서버를 경유해 임의의 목적지로 메시지나 자료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포트 스캐닝
FTP 바운스 공격은 포트 스캐닝에 많이 사용된다.
FTP 서버를 통해 FTP PORT 명령을 임의의 서버로 replay하여 포트의 open여부를 확인한다.
-[리눅스] FTP 등을 통해 파일이 전송된 기록이 저장된 로그 파일: xferlog
위치: /var/log/xferlog
-[리눅스] FTP 로그 분석 ( /var/log/xferlog)
Thu May 17 11:54:41 2018 6 q.fran.kr 1234567 /home/user/test1.mp3 b _ i r itwiki ftp 0 * c
(Thu May 17 11:54:41 2018) (6) (q.fran.kr) (1234567) (/home/user/test1.mp3) (b) (_) (i) (r) (itwiki) (ftp) (0) (*) (c)
1. 전송 날짜와 시간(Thu May 17 11:54:41 2018)
2. 전송 시간 (6)초
3. 원격 호스트 주소 (q.fran.kr)
4. 전송된 파일의 크기 (1234567)바이트
5. 전송 파일명-파일의 전체경로 (/home/user/test1.mp3)
6. 전송 파일 유형 (b)
2가지가 존재
a=ascii(문자, 텍스트)
b=binary(파일)
7. 액션플래그 (_)
_=행위가 일어나지 않음
C=파일이 압축된 경우
U=파일이 압축되지 않은 경우
T=tar로 묶여 있음
8. 전송 방향 ( i )
종류: i,o,d가 있습니다.
i = 파일을 업로드하여 서버로 들어오는 것(incoming)
o =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서버에서 나가는 것(outgoing)
d = 파일을 삭제(delete)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9. 엑세스 모드 ( r )
사용자가 접근한 방식이나 형태를 나타내는 것
종류: r,a,g
r = 시스템의 사용자 계정
a = 익명사용자(anonymous)
g = 비밀번호가 있는 게스트 계정
10. 사용자명 ( itwiki )
로그인한 사용자명
11. 서비스명 ( ftp )
호출된 서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FTP
12. 사용자의 인증 방식 (0)
사용자의 인증 방법
0인 경우 없음을 나타내고 1인 경우 RFC 931 authentication
13. 인증 사용자 ID ( * )
인증 메소드가 되돌려주는 사용자 ID입니다. *는 인증된 사용자 ID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14. 완료 상태 ( c )
전송의 완료 상태를 나타내 줍니다.
c = 전송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complete)
i - 전송이 실패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incomplete)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Linux iptables 설정 정리!!! 리눅스 방화벽 정리 (0) | 2020.10.23 |
---|---|
[리눅스] Linux 디렉토리 목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10.03 |
[리눅스] 사용자들의 기본 정보,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etc/passwd, /etc/shadow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10.03 |
[리눅스] Linux 권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9.20 |
[리눅스] Linux tcpdump 명령어 사용법 정리 (0) | 2020.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