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반응형
89

[네트워크] APC UPS(무정전전원공급기) IP설정, 변경 방법! 오늘은 APC UPS 장비 IP 설정 변경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알고계신다면 나중에 도움이 되실겁니다. 사용장비: APC Smart-UPS 1500 1. 기본상태 Esc 밑에 엔터 버튼을 클릭 해줍니다. 2. Main Menu: Configuration 에서 엔터 클릭 3. Menu Type: Standard 엔터 클릭해서 -> Advanced로 변경해줍니다. 4. Advanced에서 ↓나 ↑를 눌러주시다 보면 Config NMC: 가 나옵니다 이 때 엔터를 눌러줍니다. 5. NMC IP Address에서 Mode:Manual로 엔터 눌러줍니다. 6. 이제 NMC IP Address 에서 IP주소를 변경 해줍니다. 7. IP주소를 입력 후 엔터를 누르면 Subnet Mask 설정 창이 나옵니다. .. 2020. 9. 12.
[네트워크] 알테온(Alteon) L4 컨피그 정리! 알테온(Alteon) L4 컨피그 정리 . 현재 메뉴보기 .. 상위 메뉴 이동 / 최상위 메뉴로 이동, 명령어 분리자로 이용 info =show stat =상태정보 cfg =글로벌모드 oper boot maint diff -현재 설정과 변경될 설정 비교 diff flash -현재 운영된 설정과 flash에 있는 설정 비교 apply -변경된 설정 값 적용 save -플래쉬 메모리에 현재 설정 내용 저장 revert -실행전 컨피그 rollback revert apply -운영중인 설정을 flash에 저장된 설정으로 rollback exit admin / forgetMe! -software version, uptime, 시간, 장비명, 마지막 부팅시간, sys모든 정보 /info/sys/dump -OS버전.. 2020. 9. 11.
[리눅스] Linux tcpdump 명령어 사용법 정리 -기본 옵션들 # tcpdump [ -AdDefIKlLnNOpqRStuUvxX ][ -B buffer_size ][ -c count ][ -C file_size ][ -G rotate_seconds ][ -F file ][ -i interface ][ -m module ][ -M secret ][ -r file ][ -s snaplen ][ -T type ][ -w file ][ -W filecount ][ -E spi@ipaddr algo:secret,... ][ -y datalinktype ][ -z postrotate-command ][ -Z user ] -각종 예제 # tcpdump -i eth0 => 인터페이스 eth0 을 보여줌 # tcpdump -w tcpdump.log => 결과를 파일로 .. 2020. 9. 8.
[네트워크] 시스코(Cisco) EEM(Embedded Event Manager) 설정 방법 EEM(Embedded Event Manager)은 Cisco IOS 장치에서 직접 제공되는 이벤트 감지 및 복구에 대한 분산 형 맞춤형 접근 방식입니다. EEM은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된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임계 값에 도달 할 때 정보, 수정 또는 원하는 EEM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EEM 정책은 이벤트 및 해당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취해야 할 조치를 정의하는 엔티티입니다. 명령어 예시: [gi0/0/0 인터페이스가 DOWN 될 시 로그가 발생하며, gi0/0/1 인터페이스 DOWN 되는 EEM 설정 명령어] event manager applet Down-Giga0/0/0 event syslog pattern "Interface GigabitEthernet0/0/0, change.. 2020. 9. 6.
[네트워크] secureCRT 프로그램 설정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네트워크 필수 툴 secureCRT 프로그램 설정 방법에 대해 정리 해보겠습니다. 1. 더블탭 기능 활성화 더블탭이란? 열려있는 세션 탭 더블클릭 시 동일한 세션 탭을 만드는 기능 = 탭 복사 글로벌 옵션 > Tab/Tiling > Option > Double-click action > clone tab (한페이지에 여러 세션 열기는 Open in a tab 체크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2. 세션 로그 저장 옵션 자동저장은 아니기 때문에 세션 별로 저장할 때 사용하는 방법 입니다. option > Session Options > Log File Start log upon connect 체크후 Append to file 체크 다음세션을 열 때 부터 적용된다. 3. 세션 로그 자동 저장 .. 2020. 9. 6.
[네트워크] 시스코(Cisco) Voice VLAN 설정 명령어 정리 SW#1 컨피그 1. 2개의 VLAN 생성 (생략가능) SW1(config)#vlan 100 SW1(config-vlan)#name COMPUTER SW1(config-vlan)#exit SW1(config)#vlan 101 SW1(config-vlan)#name VOIP SW1(config-vlan)#exit 2. 인터페이스 구성 SW1(config)#interface GigabitEthernet 0/1 SW1(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1(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0 SW1(config-if)#switchport voice vlan 101 SW1(config-if)# spanning-tree portfast SW1(confi.. 2020. 9. 5.
[네트워크] 브로케이드(Brocade) 장비 컨피그 정리 브로케이드(Brocade) 장비 컨피그 정리 -콘솔접속 방법 Baud Rate 9600 /Stop Bits 1/Data Bits 8 -OS 업그레이드 copy tftp flash 192.168.0.5 FCXS08030t.bin primary boot sys flash primary -프라이머리로 #copy flash flash secondary -프라이머리 OS를 세컨더리에 복제 -부트 모니터 업그레이드 copy tftp flash 192.168.0.5 grz10100 bootrom wr mem reload -컨피그 tftp로 백업 # copy startup-config tftp 192.168.10.249 RouterA_Backup_Config -트래픽 보기 Brocade#show ip traffic -.. 2020. 9. 4.
[네트워크] 시스코(Cisco) USB로 OS 업그레이드 방법! 로그 까지 총 정리 시스코(Cisco) 장비 USB를 이용한 OS 업그레이드 방법 정리! -사용장비: C9300-48P (다른 시스코 장비들도 방법은 비슷합니다.) -OS업그레이드 순서 기존 버전확인-> USB장착-> USB에 들어있는 OS를 Flash로 Copy-> Copy 잘됬는지 확인-> 부트시스템을 Copy된 OS로 변경-> 재부팅-> 버전확인-> 저장 0. 기존 버전확인 (생략) 1. USB 장착 2020. 9. 4.
[네트워크] 이더채널(Ether Channel) 표준 프로토콜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정리 -(시스코-주니퍼 LACP 연동 테스트) 이더채널이란 다수의 포트를 하나의 포트로 사용하여 대역폭을 늘릴 수 있고 여러 포트를 하나로 사용하기에 STP로 Blocking되지 않고 포트를 전부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여러 이더채널 프로토콜들이 있지만 오늘은 표준인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에 대해 정리 해봤습니다. * LACP VS PAgP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IEEE에서 만듬 -최대 16개 포트 구성(8개 사용, 8개 백업) -active passive모드로 동작 PAgP(Port Aggregation Protocol): -시스코에서 만듬 -최대 8개 포트 구성 -desirable, auto모드로 동작 -auto – auto 방식으로는 연결 안됨.. 2020. 9. 4.
[네트워크] VRRP(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개념 정리 -게이트웨이 이중화의 개념 호스트/서버들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로 패켓을 전송할 때,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게이트웨이 장애가 발생하면, 호스트/서버들은 외부 네트워크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2개 이상의 게이트웨 이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렇게 게이트웨이를 2개 이상 사용하여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게이트웨이 이중화(Gateway Redundancy)라고 한다. 가상 라우터 중복 프로토콜 VRRP(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 IBM에서 개발한 게이트웨이 이중화 솔루션 - 표준 Protocol (RFC3768) - IP Protocol 112번 사용 - Master / Backup - Hello 주기: 1초 / Hol.. 2020. 9. 2.
[네트워크]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주소 변환 프로토콜 정리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주소 변환 프로토콜 RFC 826 에서는 ARP의 개념을 " 장비들이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IP 호스트의 이더넷 하드웨어 주소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방식 " 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상대방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하드웨어 주소를 알아내는 것이다. 네트워크에서 통신은 IP 주소로만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하드웨어 주소가 필요하다. 편지주소= IP 주소(서울시 서초구 서초X동 XXX번지) 지리적 주소= MAC 주소(우체국 정문에서 우회전하여 300m 가다가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보이는 큰 빌딩) 중요한 점은 편지주소는 논리적인 주소일 뿐, 실제적으로 편지가 배달될 때는 편지주소 보다는 편지주소에 매칭되는 지리적 주소가 더 중요하다는.. 2020. 8. 30.
[네트워크] IP주소에 대한 정리 @ IP 주소 - Layer 3 계층 주소 - IP 헤더 안에 포함된 주소 - 주소 체계 : 32bit (2^32개 = 4,294,967,296개) - IP 주소 현황 : 2011년 2월 고갈 발표 - IP 주소 고갈 문제 대책 :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팅, VLSM, 사설 IP 주소&NAT, IPv6 주소 전환 - IP 주소는 임대 서비스이다. (임대 과정 : IANA -> APNIC -> KRNIC(KISA) -> ISP -> 사용자) - 참조 사이트 : www.iana.com @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목적 : IP 주소 고갈 방지 대책, 네트워크 구분 및 IP 주소 개수 측정 - 특징 : 맨 앞에 비트부터 '1'이 연속되어야 한다. - 사용 방법 공통 비트 : '1' 표기 2020. 8. 30.
[IT꿀팁] 윈도우 유용한 단축키 정리 안녕하세요 윈도우 유용한 단축키 정리 입니다. windows키 + X 는 네트워크 엔지니어 실무에 도움이 되는 단축키가 많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window키- window키 + d :모든 창 최소화 window키 + r :실행 창 열기 window키 + e :파일탐색기 열기 window키 + l :잠금화면으로 전환 window키 + 왼쪽/오른쪽/위/아래 화살표 : 화면을 화살표 위치로 배치 windows키+ P :듀얼모니터 설정 windows키 + i :윈도우 설정 창 열기 windows키 + Tab :모든 가상 데스크톱 리스트와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 확인 windows키 + X 누른후 M :장치관리자 빠르게 열기 windows키 + X 누른후 W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빠르게.. 2020. 8. 27.
[IT꿀팁] 크롬 단축키 정리 ! 작업 시 유용한 크롬 단축키 정리해봤습니다. ctrl + shift + t :닫은 창 복구 단축키가 알고 있으시면 정말 유용합니다. 혹시 자주사용하시는 다른 단축키가 있으시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ctrl- ctrl + t :새탭추가 ctrl + w :창하나 닫기 ctrl + shift + t :닫은 창 복구 ctrl + a :전체 복사 ctrl + tab :탭이동 ctrl + l :url검색창으로 ctrl + c :복사 ctrl + v :붙여넣기 ctrl + z :되돌리기 ctrl + f :페이지 내 검색창 ctrl + d :북마크 추가 ctrl + Shift + Esc :설정 창 바로가기 -alt- alt :다음페이지 2020. 8. 27.
[네트워크] 화웨이(Huawei) 네트워크 장비 명령어 정리 (Huawei Network Device Command Summary) 화웨이 네트워크 장비 명령어 정리입니다. (Huawei Network Device Command Summary)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quit -전단계로 이전 save -저장 ---------------------------------------------------- -저장파일 확인 명령 dir ->config.cfg로 저장된다. ---------------------------------------------------- -버전 확인 display version ---------------------------------------------------- -패스워드 리커버리 부팅시 ctrl + B .. 2020. 8. 27.
[네트워크] 주니퍼(Juniper) show command 기본 정리 Juniper show command summary 주니퍼(Juniper) show command 기본 정리입니다. 감사합니다. -show 기본 >show ethernet-switching table = MAC 테이블 보기 >show ethernet-switching interfaces = L2인터페이스 확인 (STP Block 확인) >show route = 라우팅 테이블 보기 >show arp = arp 테이블 보기 >show version = 버전, 모델명, 호스트네임, OS 보기 >show system uptime = 업타임 >show system alarms = 알람보기 >show system license =라이센스 확인 >show system memory =메모리 정보 확인 >show sys.. 2020. 8. 23.
[네트워크] 시스코(Cisco) show command 정리 시스코 show command 정리 시스코 show 명령어 정리와 간단한 설명입니다. 직접 입력해보시면서 실습하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감사합니다! #show run linenum -설정 컨피그라인 번호 보여줌 #show runnig-config interface f 0/1 -특정 인터페이스 설정 확인 #show interface switchport #show interface summary #show interfaces status -port별 vlan, 듀플럭스, up/down, description정보, speed, type 확인 (a-는 오토, a-half = 자동협상결과 오토로 어딘가 문제) #show interfaces stats #show interface trunk #show interfa.. 2020. 8. 23.
[네트워크] 스패닝트리프로토콜 (IEEE 802.1D -STP: spanning tree protocol) 이론 정리 STP(spanning tree protocol)란?? 네트워크의 가용성을 증대 시키기 위해 이중화로 구성할 때 스위치나 브릿지에서 발생하는 루핑을 막아주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경로가 2개 이상일 때 1개의 경로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모두 끊어두었다가 사용하던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면 그 때 끊어두었던 경로를 하나씩 살린다. -브리지ID: 8바이트(64비트) 2바이트(16비트) 브릿지 우선순위(0~65535) / 6바이트(48비트) MAC어드레스​ -STP 기본적인 동작 3가지: 1.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브리지를 갖는다. 2.루트브리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리지는 무조건 하나씩 루트 포트를 갖는다. 3.세그먼트당 하나씩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를 갖는다. ​ -루트브리지, 루트포트, 데지그.. 2020. 1. 10.
[네트워크] well-known port,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포트 번호 정리! 안녕하세요 시스코킹입니다.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포트 번호를 정리했습니다. 알아두면 도움되는 포트번호입니다. 참고하세요! 서비스포트: 0번 ~ 1023번 : 잘 알려진 포트 ( well-known port ) 1024번 ~ 49151번 : 등록된 포트 ( registered port ) 49152번 ~ 65535번 : 동적 포트 ( dynamic port ) 21/TCP- FTP 22/TCP- SSH 23/TCP- Telnt 25/tcp-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53/udp- DNS (Domain Name Syetem) 69/udp- TFTP 80/tcp-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페이지 전송 110/tcp-.. 2020. 1. 9.
[네트워크] Juniper 장비 FTP로 OS 업그레이드 하는 법! 안녕하세요 시스코킹입니다. 주니퍼장비를 FTP로 OS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이론입니다. 1. 장비에 할당 가능한 OS 준비 , FTP프로그램 준비 2. 장비 포트에 IP할당, OS버전 확인 - PC에 IP할당 3. 핑으로 확인 4. FTP 서비스 명령어 입력 5. FTP 열어서 파일 삽입 6. 명령어로 업데이트 7. 재부팅 8. OS 업데이트 확인 이제 업데이트를 시작하겠습니다. 장비는 EX-2200장비를 사용했습니다. 장비별, OS별로 조금씩 다를 수도 있습니다. 실제 업데이트 과정 로그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WARNING: JUNOS versions running on dual partitions are not same ** /dev/da0s2a FILE .. 2020. 1. 9.
[네트워크] Routing Protocol 종류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시스코킹입니다.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의 종류에 대해 간단하지만 깔끔한 이론 정리 해보겠습니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하는 스태틱 라우팅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정보를 동적으로 학습하고 유지하는 다이나믹라우팅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스태틱 라우팅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수동으로 직접 목적지 경로를 지정해주며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경로가 하나뿐인 Stub 네트워크나, 주로 변화가 적은 네트워크에서 사용합니다. 장점으로는 관리자가 경로를 직접 입력하므로 라우터의 부담과 대역폭낭비가 적고 보안성이 있습니다.​ 단점은 한 네트워크에 회선이 추가될 경우 관리자가 직접 설정해야 되며 풍부한 지식이 요구됩니다. 다이나믹 .. 2020. 1. 9.
[네트워크] IGP ! 거리벡터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RIPv1, RIPv2) 안녕하세요 시스코킹입니다. 거리벡터라우팅프로토콜을 간단하게 정리하겠습니다. 첨부파일은 RIP프로토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루핑에 대해서 잘 정리되있는 파일입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거리벡터라우팅 프로토콜(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전체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대해 알지 못하고 이웃 라우터의 주기적인 갱신정보로부터 원격 목적지 네트워크에 대한 라우팅 경로를 결정하게되는 프로토콜로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 전체 또는 일부를 이웃라우터에게 주기적으로 전달합니다.(RIP: 30초 / IGRP: 90초) 이웃 라우터가 보내준 정보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하고비교적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며 수렴이 느립니다. ​ -이웃 라우터에게 라우팅.. 2020. 1. 9.
[네트워크]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란 무엇이며, 컴퓨터 네트워크를 어떻게 보호 하는가? 안녕하세요 시스코킹입니다. 프록시 서버(Proxy server)에 대해 간략하게 요약정리 하겠습니다. 프록시 서버란 무엇이며 컴퓨터 네트워크를 어떻게 보호합니까?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리켜 프록시라고 합니다.​프록시 서버는 프록시 서버에 요청된 내용들을 캐시를 이용하여 저장해둡니다. 클라이언트는 캐시 안에 있는 내용을 요청할 경우 원격 서버에서 접속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송 시간을 아낄 수 있고 불필요한 외부 연결을 안해도 됩니다. 또한 서버는 트래픽이 줄어들어 네트워크 병목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프록시 서버측에서 위험이 예상되는 콘텐츠, 악성코드를 필터링 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측의 보안을 향상 시킬 수 있.. 2020. 1. 9.
[네트워크] 라우터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동작절차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시스코킹입니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동작절차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ARP 동작절차 Routing Table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 IP에 대한 next hop IP를 확인 합니다. Next hop IP는 다른 LAN에 있는 상대방인 경우는 Router의 IP가 되며, 동일 LAN에 있는 상대인 경우는 상대방의 IP입니다. Next hop IP가 ARP Cache Table(이하 ARP Table)에 등록 되어 있는지를 검사 합니다. 이미 ARP Table에 상대방 IP에 대한 MAC Address가 등록 되어 있으면, 그 MAC address를 이용하여 Ethernet Frame의 destination MAC address를 채우고, Fr.. 2020. 1. 9.
[네트워크] 스위치(Switch)의 트랜스패런트 브리징(Transparent Bridging)이란??? 안녕하세요 시스코킹입니다. 트랜스패런트 브리징(Transparent Bridging)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switch가 MAC Table을 스스로 생성하고 이 MAC Table을 참조하여 수신되는 프레임을 목적지로 전송하는 과정을 트랜스패런트 브리징이라고 하며, IEEE 802.1D에 표준으로 정의가 되어 있습니다. 과정: 이더넷 프레임이 수신되면, source MAC address를 읽어서 수신 port 번호와 함께 MAC Table에 기록한다. (Learning) Destination MAC address가 MAC Table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Unicast 프레임(Unknown Unicast)이거나, ARP Request와 같은 브로드캐스트인 경우, 수신 port를 제외한 다른 모든.. 2020. 1. 9.
[네트워크] 사설 IP의 장, 단점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시스코킹입니다. 오늘은 사설 IP의 장,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 전에 기본적인 IP클래스 부터 확인하시고 가세요. IP클래스 범위 A클래스: 첫 옥텟 첫 비트 0, 0~127까지 0, 127(루프백용)을 제외한 126개 가용 네트워크 B클래스: 첫 옥텟 두 비트 10, 128~191까지 C클래스: 첫 옥텟 세 비트 110, 192~223까지 D클래스: 첫 옥텟 네 비트 1110, 224~239까지 E클래스: 첫 옥텟 네비트 1111, 240~255까지, IETF 연구를 위해 예약 기본이론은 다들 아시니 바로 사설IP 장, 단점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장점으로는 별도의 공인 IP를 할당받으려면 추가적인 비용이 소모되므로 사설IP를 사용하면 IP주소를 절약할 수 있고 내부에서 외.. 2020. 1. 9.
[네트워크] TCP/IP란 무엇인가??? (3Way Handshake) 안녕하세요 엔지니어 시스코킹입니다. 오늘은 네트워크에서 빼놓을 수 없는 TCP/IP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TCP/IP란?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 TCP와 인터넷프로토콜 IP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TCP/IP를 왜 사용하는가? IP만 있어도 상호간에 통신이 가능한데 왜 굳이 TCP/IP를 쓰는가?라는 의문점이 생깁니다. 면접 때 자주 묻는 질문이기도 하고요. IP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데이터의 작은 조각들을 되도록 빨리 보내는 일을 합니다.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 패킷을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 TCP는 IP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달을 보.. 2020. 1. 8.
[네트워크 이론] OSI 7계층 총정리!!! 안녕하세요 엔지니어 시스코킹입니다. 오늘은 OSI 7계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학교나 학원에서 네트워크에 대해 배울 때 자주 등장하는 것이 OSI 7계층인데요. 총정리 해놨으니 보시면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초기 여러 정보통신업체 장비들은 자신의 업체 장비들 끼리만 연결되어 호환성이 없었는데모든 시스템들의 상호연결에 있어 문제 없도록 ISO에소 표준을 정한 것이 OSI 7계층입니다. 표준과 학습도구로써 제작 되었습니다. 하위계층부터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계층, 전송계층, 세션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 총 7계층으로 나눠져 있고 데이터를 전송시 각각의 층에서 인식 할 수 있는 헤더를 붙이게 되는데 이를 캡슐화라고 합니다. 전송시 7계층에서 1계층으로 헤더를 붙이고(캡슐화.. 2020. 1. 8.
[IT꿀팁] PC 부팅시 자동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방법! 안녕하십니까 엔지니어 시스코킹입니다. 실무에서 사용하는 IT꿀팁이나 정보들을 공유하고자 블로그를 개설했습니다!!! (짝짝짝) PC로 업무를 하시다보면 좀 더 편리하게 할 방법이 없을까 많이들 고민하실텐데요. 오늘의 꿀팁은 아시는분들은 아시겠지만 PC부팅시 자동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윈도우 + R키를 눌러 실행화면을 열어줍니다! 이 화면에서 여러가지 기능으로 다양한 작업들을 할 수 있는데요! shell:startup을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사진과 같이 폴더창이 하나 뜹니다. 이 부분에 PC부팅시 실행시키고자 하는 파일을 드래그 합니다! 저는 메모장을 넣어 봤는데요! 재부팅을 해보겠습니다! 사진과 같이 PC가 부팅이 되면 자동으로 메모장 파일이.. 2020. 1. 8.